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75

2024. 1. 11(목) 오늘의 시황, 코스피 7거래일 연속 하락, 주파수 경매 ★ 오늘의 시황 정보 들어가기 ★ 국내 주요 지표 코스피 2,540.27 ▼ 1.71 -0.07% 코스닥 882.53 ▲ 7.07 +0.81% 코스피 200 340.28 ▼ 0.38 -0.11% 코스피의 7 거래일 연속 하락... 반대로 움직이는 코스닥 국내 수급현황 코스피 (개인) +7,181억 (외국인) +22,983억 (기관) -30,298억 코스닥 (개인) -1,591억 (외국인) +805억 (기관) +807억 국내외 주식시장 이슈 1. 코스피 7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했다. 미국 물가지수에 쏠린 눈? 11일 코스피지수는 약 보함 마감하며 하락세를 이어갔는데, 외국계 기관의 대규모 매물 투입으로 인해 지수가 하락했다. 미국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이 꺾이면서 투자자들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 2024. 1. 11.
2024. 1. 10(수) 오늘의 시황, 미국 CPI, 비트코인 현물 ETF, 홍콩 ELS ★ 오늘의 시황 정보 들어가기 ★ 국내 주요 지표 코스피 2,541.98 ▼ 19.26 -0.75% 코스닥 875.46 ▼ 9.18 -1.04% 코스피 200 340.66 ▼ 3.15 -0.92% 국내 수급현황 코스피 (개인) +3,519억 (외국인) -2,155억 (기관) -1,413억 코스닥 (개인) +2,961억 (외국인) -2,320억 (기관) -562억 코스피 코스닥 양 시장 극명하게 갈리는 하루였습니다. 개인은 6500억 순매수, 외국인/기관은 6500억 순매도 시장이었습니다. 국내외 주식시장 이슈 1. 코스피 관망세 확산, 미국 CPI 발표 분수령이 될 듯 11일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예정에 기관 6거래일째 순매도 이어가고 있다. 기업 실적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경계로 보고 있다... 2024. 1. 10.
2024. 1. 9(화) 오늘의 시황, 삼성전자 어닝쇼크, 바나듐 배터리 ★ 오늘의 시황 정보 들어가기 ★ 미국 주식시장은 뉴욕 연은 기대 인플레 하락에 엔비디아 신고가 경신하며 빅테크 주도로 상승했습니다. 이는 12월 소비자물가 발표 앞두고 기대 인플레 3%로 하락하며 물가 둔화 기대감에 상승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코스피도 전일 미국 증시 훈풍 영향에 상승 출발 했으나 삼성전자 4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에 상승폭이 축소되었습니다. 이번주 소비자물가 발표 앞두고 FOMC로 넘어가기 전 금리 변동 경계심리 속 외국인 현선물 매도 전환되었으며 전일 사우디 원유 가격 인하 발표 영향에 WTI 급락, 원유 가격 하락 수혜로 항공주가 반등을 보였습니다. 코스닥은 오늘도 상승했으며, AI 모멘텀 이어지며 반도체 업종 큰 상승폭으로 지수 상승에 견인했습니다. 디지털콘텐츠, 반도체, 통신서비.. 2024. 1. 9.
2024. 1. 8(월) 오늘의 시황,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2024 CES 속 혼조세 ★ 오늘의 시황 정보 들어가기 ★ 코스피도 금리 조기 인하 기대 축소에 순매도로 일관하던 외국인 순매수 전환 속 혼조세 유지했다. 이번 주 메크로 이벤트 외에도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서, 삼성전자 실적 발표 등 개별 기업 이벤트 다수 발생했다. 네이버, 카카오 등 소프트웨어 업종 내 인터넷 주 외국인 순매수 이어지며 상승했다. 갤럭시 S24 언팩 앞두고 AI 관련 테마 주도력 지속되며 매크로 및 기업 이벤트 대기하는 장세 지속 중에 있다. 코스닥은 10주 연속 상승 랠리 기록하고 있다. 2023년 3월 2차전지, 엔터 강세로 인한 랠리 이후 처음이다. 소프트웨어, 디지털컨텐츠 업종 강세인 반면 금융, 인터넷, 제약 업종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금주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서, CES 2024 등 이벤트.. 2024. 1.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