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

2023. 11. 15.(수) 오늘의 시황, 증시 이슈 ⊙ 들어가기 ⊙ 코스피 2,486.67 ▲ 53.42 +2.20% 코스피 200 333.96 ▲ 15.17 +1.91% 코스닥 809.36 ▲ 7.39 +2.26% 코스피 (개인) -16,117억 (외국인) +5,423억 (기관) +10.915억 코스닥 (개인) -1,769억 (외국인) +1,604억 (기관) +132억 부동산 침체 긴 터널.. 건설·제2금융 강타 악재 산적한 건설업 2년 연속 '악화 예상' 1위, 부동산 PF 여파에 제2금융권 우려 급증 웅진, 2차전지 사업 진출설에 깜짝 상한가 이화그룹 계열 이큐셀 인수 보도 후 급등세, 거래량 전날보다 80배 뛰었다 '파두 사태' 법정 가나? "첫 IPO 집단소송 추진" 네이버와 카카오 탈출한 개미들, 2차전지 상형제로 갈아탔다. "CPI 둔화·셧다.. 2023. 11. 15.
11월 15일 국내외 핵심 뉴스 정리 11월 15일 간단하게 국내외 핵심 뉴스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금리 인상 끝났나? 물가 둔화에 나스닥 2.4% 상승 밤사이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일제히 올랐습니다. 물가 상승 속도가 개선되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된 영향입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 넘게 급등하며 두 달여 만에 1만 4000선을 돌파했습니다. 미국 근원 소비자물가, 2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미국 노동부는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3.2%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시장 전망치(3.3%)는 물론 9월 상승률(3.7%) 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가격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하고 산출하는 근원 CPI 상승률은 4.0%로 연간 기준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금리 인하 가능성이.. 2023. 11. 15.
2023. 11. 14.(화) 오늘의 시황, 증시 이슈 ⊙ 들어가기 ⊙ 코스피 2,433.25 ▲ 29.49 +1.23% 코스피 200 326.57 ▲ 3.26 +1.01% 코스닥 794.19 ▲ 19.77 +2.55% 코스피 (개인) -5,430억 (외국인) -938억 (기관) +6,263억 코스닥 (개인) -2,727억 (외국인) +2,809억 (기관) -106억 코스피, 1%대 상승 마감, 2차 전지주 부활 꿈틀 (코스닥 2.5% 상승) LG에너지설루션 5.17%, 삼성 SDI 4.32%, 포스코퓨처엠 7.65%, 에코프로비엠(9.69%) 유동성공급자 공매도 금지하면 ETF시장 붕괴? 공매도 금지 대상에 시장조성자(MM)·유동성공급자(LP)까지 포함하라는 일부 투자자들의 아우성에 금융 당국이 그 가능성을 검토하자 금융투자 업계가 강력 반발 두산로보틱스를.. 2023. 11. 14.
11월 14일 국내외 핵심 뉴스 정리 11월 14일 간단하게 국내외 핵심 뉴스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 52시간 유지, 일부 업종과 직종만 완화 근로시간 개편을 추진하던 정부가 현행 주 52시간제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노사가 모두 원하는 일부 업종과 직종에 한해 제도를 일부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노사정 대화를 통해 정한다는 방침입니다. 그럼 현재 근로시간제는 어떤가요? 현행 주 52시간제는 일주일에 최대 52시간까지만 일할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 기본 40시간, 연장근로 12시간을 합친 것입니다. 총 근로시간을 계산하는 기간 단위가 일주일로 제한되기 때문에 이번주에 연장근로를 하지 않아 시간이 남더라도 이를 다음 주로 넘겨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어떻게 바뀌는 것인가요? 큰 틀에서 보면, 주 5.. 2023. 11. 14.
728x90